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컴퓨터활용능력 필기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망의 구성 형태 ]

반응형

안녕하세요. JIT 입니다.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에 출제되는 기출문제인 망의 구성 형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망 구성의 종류

 ⓐ 성형 [ 스타형 ]

 ⓑ 링형

 ⓒ 버스형

 ⓓ 망형 [ 메쉬형 ]

 ⓔ 트리형 [ 계층형 ]

 

2. 성형

 중앙집중방식

 

3. 링형

 끊어지면 오류

 

4. 버스형

 길이 제한 있음

 랜선 구조

 

5. 망형 [ 메쉬형 ]

 에러 복구율 높음

 그물 모양

 

6. 트리형

 계층구조 형태

 

-- 기출문제 --

1. 다음 중 네트워크 구성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망(Mesh)형은 응답 시간이 빠르고 노드의 연결성이 우수하다.
  • ② 성형(중앙집중형)은 통신망의 처리 능력 및 신뢰성이 중앙 노드의 제어장치에 좌우된다.
  •  버스(Bus)형은 기밀 보장이 우수하고 회선 길이의 제한이 없다.
  • ④ 링(Ring)형은 통신회선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 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친다.

 

2. 다음 중 중앙의 주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의 기능이 마비되는 통신망 형태는?

  •  버스(Bus)형
  • ② 트리(Tree)형
  • ③ 성(Star)형
  • ④ 메시(Mesh)형

 

3. 다음 중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트리형(Tree)은 허브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구성한 형태이다.
  •  버스형(Bus)은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한 형태이다.
  • ③ 링형(Ring)은 모든 컴퓨터를 그물 모양으로 서로 연결 한 형태이다.
  • ④ 스타형(Star)은 각 컴퓨터를 허브와 점 대 점으로 연결 한 형태이다.

 

4. 다음 중 정보 통신망의 구성형태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망형(Mesh Topology)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특정 노드에 이상이 생겨도 전송이 가능하다.
  • ② 링형(Ring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을 하나의 원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통신 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특정 노드의 이상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 ③ 트리형(Tree Topology)은 하나의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확장이 많을 경우 트래픽이 과중될 수 있다.
  •  버스형(Bus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종단에는 종단 장치가 있어야 한다.

 

5. 다음 중 전화 통신망과 같은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 많이 이용되며 통신회선 장애시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옳은 것은?

  • ① 성형(Star)
  •  버스형(Bus)
  • ③ 망형(Mesh)
  • ④ 계층형(Tree)

 

6. LAN의 매체 접근제어 방식 중에서 CSMA/CD는 어떤 구조에서 사용되는 방식인가?

  • ① Star형 구조
  • ② Tree형 구조
  • ③ Bus형 구조
  • ④ Mesh형 구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