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IP주소 , IPv4, IPv6 ]
안녕하세요. JIT 입니다.
오늘은 IP주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P주소란 ?
ⓐ 컴퓨터에 부여된 고유한 주소이다.
ⓑ 중복 될 수 없다.
ⓒ IPv4와 IPv6로 나뉜다.
2. IPv4
ⓐ 생김새 : 192.168.0.255
ⓑ 8Bit x 4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다. ( 32 Bit )
ⓒ . (점) 으로 구분한다.
ⓓ 10진수로 표현한다.
ⓔ A~E 클래스를 가진다.
3. IPv6
ⓐ 생김새 : AB:C:0::0:F0:AC ....
ⓑ 16Bit x 8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다. ( 128 Bit )
ⓒ : (콜론) 으로 구분한다.
ⓓ 16진수로 표현한다.
ⓔ 애니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통신 방식이 있다.
ⓕ 주소에서 0 반복 시 :(콜론) 으로 생략 가능
IPv4 | IPv6 | |
생김새 | 192.168.0.255 | AB:C:0::0:F0:AC |
Bit와 부분 | 8Bit x 4 | 16Bit x 8 |
구분 | . (점) | : (콜론) |
특징 | 클래스 | 통신 방식 ( 애니, 유니, 멀티 ) |
v4 에서 v6로 넘어갈 때 2배가 증가한답니다.
* DNS : 도메인 네임 서비스. 문자 주소를 숫자 주소로 변경
* 퀵돔 : 짧은 형식으로 도메인 입력
* URL : 링크
* URL 구성 : 프로토콜/호스트/포트번호/파일 ( 프 호 포 파 )
-- 기출문제 --
1. 다음 중 IPv6 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 ②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되며,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 ③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로 나누어진다.
- ④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1번 해설 : 세미콜론이 아닌 콜론
2. 다음 중 인터넷 주소 체계에서 IPv6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128 비트의 주소를 사용하여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 ② IPv4와 비교하였을 때 자료 전송 속도가 늦지만, 주소의 확장성과 융통성이 우수하다.
- ③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
- ④ IPv4와 호환성이 있으며, 실시간 흐름제어가 가능하다.
2번 해설 : IPv6가 자료 전송 속도가 더 빠릅니다.
3. IPv6 주소 체계는 16진수 숫자로 표시되는 여러 개의 섹션들과 각 섹션간 구분은 콜론(:)으로 주소를 표현한다. 다음 중 각 섹션을 구성하는 비트 수에 해당하는 것은?
- ① 4비트
- ② 8비트
- ③ 16비트
- ④ 32비트
4. 다음 중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주소의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한다.
- ② 주소의 각 부분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 ③ 주소의 전체 길이가 64비트이다.
- ④ 0이 연속되는 경우 연속된 0은 '::'으로 생략할 수 있다.
5.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 ② KRNIC에서 부여하는 도메인 네임은 '호스트명.소속기관명.소속기관의 종류.소속국가' 순으로 구성된다.
- ③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는 전 세계에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주소로 사용된다.
- ④ IPv4주소는 총 64비트로 구성된다.
5번 해설 : IPv4는 32비트로 구성 됨 ( 8bit x 4 )
6. 다음 중 인터넷 주소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는 IP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중 하나를 배정받아야 하며,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고유 주소는 도메인 네임으로 이는 IP 주소와 동일하다.
- ②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는 ICANN이며, 한국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관리하고 있다.
- ③ 현재는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4 주소와 IPv6 주소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IPv6 주소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 ④ IPv6는 IPv4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고, 128비트의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 및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6번 해설 : 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은 동일하지 않으며, 둘 다 있어야 인터넷 접근이 가능합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네임에 관한 설명으 로 옳은 것은?
- ①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숫자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 ② 소속 국가명, 소속 기관명, 소속 기관 종류, 호스트 컴퓨터명의 순으로 구성된다.
- ③ 퀵돔(QuickDom)은 2단계 체제와 같이 도메인을 짧은 형태로 줄여 쓰는 것을 말한다.
- ④ 국가가 다른 경우에는 중복된 도메인 네임을 사용할 수 있다.
8. 다음 중 인터넷을 사용할 때 문자로 되어 있는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장비는?
- ① 게이트웨이
- ② DNS 서버
- ③ 서브넷 마스크
- ④ 라우터
9. 다음 중 학교를 나타내는 기관 도메인과 종류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es - 초등학교
- ② ms - 중학교
- ③ sc - 고등학교
- ④ ac - 대학교
9번 해설 : 고등학교는 m
10. 다음 중 인터넷의 표준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형식으로 옳은 것은?
- ① 프로토콜://호스트 서버 주소[:포트번호][/파일 경로]
- ② 프로토콜://호스트 서버 주소[/파일 경로][:포트번호]
- ③ 호스트 서버 주소://프로토콜[/파일 경로][:포트번호]
- ④ 호스트 서버 주소://프로토콜[:포트번호][/파일 경로]
11.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표준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4가지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프로토콜, 서버 주소, 포트 번호, 파일 경로
- ② 서버 주소, 프로토콜, 포트 번호, 파일 경로
- ③ 프로토콜, 서버 주소, 파일 경로, 포트 번호
- ④ 포트 번호, 프로토콜, 서버 주소, 파일 경로
12. 다음 중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들의 위치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준주소체계를 뜻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 ① DNS
- ② URL
- ③ HTTP
- ④ 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