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컴퓨터활용능력 필기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휴지통 ]

반응형

안녕하세요 JIT 입니다.

 

오늘은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인 휴지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략하게 요약 해드리겠습니다.. ! 

 

1. 휴지통이란 ?

  -컴퓨터 내에서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였을 때 저장되는 장소

  -삭제한 데이터는 실제로 Recycle 폴더에 저장되며 Recycle의 경로를 변경 할 수는 없다.

 

 

2. 휴지통 모양

  -삭제 한 파일이 없을 때의 모양과 파일을 삭제하였을 때 모양이 서로 다르다.

삭제 X
삭제 O

3. 휴지통 크기

  - MB , % 단위로 설정 할 수 있다.

 

4. 삭제 불가능 한 경우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삭제되지 않는다.

 

5. 휴지통에서 복원이 가능한 경우

  ⓐ 같은 드라이브에서 Delete를 눌러 삭제한 경우

  ⓑ 같은 드라이브에서 [삭제]를 눌러 삭제한 경우.

* 드라이브 = 디스크 같은 용어입니다.

 

6. 휴지통에서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

  ⓐ 다른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

  ⓑ Shift + Delete를 눌러 삭제한 경우

  ⓒ 휴지통 크기를 0MB 또는 0%로 설정한 경우

* 다른 드라이브 : USB, 네트워크 드라이브, 플로피디스크, MS-DOS 라고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7.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방법

  ⓐ Shift + Delete를 눌러 삭제한다.

  ⓑ 휴지통 속성에서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를 선택한다.

 

휴지통 속성 창

8.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은 복원 할 수 있으나, 실행은 할 수 없다.

 

9. 휴지통 용량이 가득 차면 가장 오래전에 삭제한  파일부터 삭제된다.

 

 

 

-- 기출문제 --

1.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휴지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하드디스크의 파일이나 폴더를 키를 눌러서 삭제하면 [휴지통]에 넣어지며, [휴지통] 아이콘은 빈 휴지통에서 가득 찬 휴지통 아이콘으로 바뀐다.
  • ② [휴지통]에 보관된 실행형 파일은 복원이 가능하며 복원하기 전에도 실행시킬 수 있다.
  • ③ Windows에서는 각각의 파티션이나 하드디스크에 [휴지통]을 하나씩 할당한다.
  • ④ [휴지통]에 있는 항목은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하기 전까지 휴지통에 그대로 있으며, 사용자가 삭제를 취소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2. 다음 중 파일 삭제 시 파일이 [휴지통]에 임시 보관되어 복원이 가능한 경우는?

  • ① 바탕 화면에 있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삭제한 경우
  • ②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Delete〉키로 삭제한 경우
  • ③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파일을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클릭하여 삭제한 경우
  • ④ [휴지통]의 크기를 0%로 설정한 후 [내 문서] 폴더 안의 파일을 삭제한 경우

 

3. 다음 중 Windows에서 사용되는 휴지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휴지통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다.
  • ② 지정된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되면 새로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는 보관되지 않는다.
  •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  휴지통에서 원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크 정리로 삭제할 경우
  •  휴지통에 있는 특정 파일을 선택한 후에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할 경우
  • ③ 현재 편집 중인 문서 파일이 포함된 폴더를 선택한 후에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할 경우
  • ④ 모든 권한이 설정된 특정 폴더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경우

 

5. 다음 중 한글 Windows의 [휴지통 속성] 창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삭제 확인 대화 상자의 표시 설정
  •  휴지통의 바탕화면 표시 설정
  • ③ 각 드라이브의 휴지통 최대 크기 설정
  • ④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바로 제거하는 기능 설정

 

6.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휴지통]의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휴지통의 크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마다 MB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장된 폴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 ③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될 때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바로 제거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④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될 때 마다 삭제 확인 대화 상자 표시를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7.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USB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히 삭제된다.
  • ②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  휴지통에 있는 특정 폴더를 더블클릭 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 창이 나타난다.
  •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 하면 원본 사진을 미리 보기로 볼 수 있다.

 

8. 다음 중 Windows에서 파일을 삭제한 후 복원할 수 없는 경우로 옳은 것은?

  • ①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한 경우
  • ② [탐색기] 창에서 바탕 화면의 파일을 선택하고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하여 파일을 삭제한 경우
  • ③ [내문서] 창에 있는 파일을 〈Delete〉키를 눌러서 삭제한 경우
  • ④ [탐색기] 창에서 바탕 화면의 파일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휴지통으로 드래그하여 삭제한 경우

 

9.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다음과 같이 파일을 삭제하였을 때 [휴지통]에 저장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 ① 해당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할 경우
  • ② [Shift] + [Delete] 키를 이용하여 C: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 ③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삭제할 경우
  • ④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이렇게 휴지통에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필기 시험 보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