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컴퓨터활용능력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인 운영체제 기능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급과 2급 둘 다 비슷한 유형으로 나오고 있으니 급수 상관 없이 보셔도 문제 없습니다.
간결하게 정리해드리도록 할게요 .. !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Graphical User Interface , GUI ) 방식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 시 텍스트가 아닌 그래픽 아이콘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 GUI의 반대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 Character User Interface, CUI ) 또는 ( Character Line Interface, CLI ) 방식도 있습니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 Plug and play , PnP )
장치를 연결하면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장치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능
* 드라이버 : 장치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 드라이버 미설치 시 노란색 물음표 표기
* 시험 문제와 관련 없는 일상 Tip) 자동으로 설치 해주는 것도 있지만 우리가 직접 설치 해야되는 것도 있습니다 !
3. 선점형 멀티태스킹
운영체제가 제어권을 프로그램에게 부여하여 프로그램 실행의 독점을 방지하는 기능
4. NTFS 파일 시스템
암호화 기능 지원, 디스크 용량 (제한 있음) 등이 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 다른 파일시스템인 FAT32와 비교하여 성능이 더 좋다.
5. 개체 연결 (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OLE )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그림 등 개체를 연결하는 기능
6. 핫 스와핑 ( Hot swapping )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장치를 연결 및 분리 할 수 있는 기능
7. 에어로 피크
작업 표시줄에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미리보기가 나오는 기능
8. 에어로 스냅
실행 중인 창을 잡고 좌측, 우측에 붙이면 창 크기를 쉽게 조절 할 수 있는 기능
9. 에어로 셰이크
실행 중인 창을 잡고 흔들면 그 창을 제외한 나머지가 내려가는 기능
-- 기출문제 --
1. 문자 유저 인터페이스(CUI)를 사용하는 DOS와 달리, 명령을 알아보기 쉽게 아이콘으로 표현하는 Windows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무엇인지 쓰시오.
정답 : GUI
2. 다음 중 제어판 작업에서 플러그앤플레이(PNP)의 지원 여부에 따라 작업 방법이 달라지는 것은?
- ① 날짜와 시간
- ② 전원 구성
- ③ 프로그램 및 기능
- ④ 장치 및 프린터 추가
2번 해설 : PNP는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기능이기에 장치 및 프린터를 추가할 때 지원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3. 다음 중 하드웨어 장치의 설치나 드라이버 확장 시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은?
- ① 원격지원
- ② 플러그 앤 플래이
- ③ 핫 플러그인
- ④ 멀티스레딩
4. 다음 중 Windows의 [장치 관리자]에서 각 장치에 표시 될 수 있는“노란색 물음표”의 원인으로 옳은 것은?
- ① 인터페이스 장치 충돌
- ② 드라이버 미설치
- ③ 시스템 고장
- ④ 전원 공급
5. 다음 중 한글 Windows의 특징에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컴퓨터에 새로운 하드웨어를 설치할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해 주는 기능이다.
- ② 기존 컴퓨터 시스템과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③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PnP 기능을 지원하여야 수행된다.
- ④ 컴퓨터 시스템이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5번 해설 : 플러그 앤 플레이가 오류 자동복구 기능을 .. ?
6.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한글 Windows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① 선점형 멀티태스킹
- ②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③ 보안이 강화된 방화벽
- ④ 컴퓨터 시스템과 장치 드라이버의 보호
- ① FAT16
- ② FAT32
- ③ NTFS
- ④ VFS
- ① 하드디스크의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② 시스템 안정성이 향상된다.
- ③ 하드디스크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시스템을 보다 빨리 사용할 수 있다.
- ④ 시스템 리소스를 최대화할 수 있다.
8번 해설 : 시스템 리소스 최소화
- ① FAT32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여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하다.
- ② 하드 디스크 논리 파티션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 ③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에 약 400MB 이하의 볼륨에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 ④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한다.
9번 해설 : 크기 제한 존재 ( 2TB )
10. 다음 중 Windows 7의 파일 또는 폴더의 암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암호화한 파일 또는 폴더에 대한 액세스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는 자신의 EFS(파일 시스템 암호화) 인증서를 미리 해당 파일에 추가해야 한다.
- ② 폴더 또는 파일을 처음 암호화할 때 암호화 인증서가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 ③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또는 드라이브로 파일을 복사하더라도 설정된 암호는 유지된다.
- ④ 파일 또는 폴더의 암호화에 사용되는 암호화 키는 항상 암호화 인증서와 관련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10번 해설 : 다른 파일 시스템 (FAT32)은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 유지가 되지 않는다.
11. 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Windows 제공 기능은?
- ① 선점형 멀티태스크(Preemptive Multitasking)
- ② GUI(Graphic User Interface)
- ③ PnP(Plug & Play)
- ④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로 착각 할 수 있는 문제
*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
- ①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② 위지윅(WYSIWYG)
- ③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④ 하이퍼링크(Hyperlink)
해설 : OLE는 " 응용 프로그램 연결 " / 하이퍼링크는 " 문서 연결 " 입니다.
12. 다음 중 컴퓨터의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장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은?
- ①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 ② 핫 스와핑(Hot swapping)
- ③ 채널(Channel)
- ④ 인터럽트(Interrupt)
13. 다음 중 Windows의 에어로 피크(Aero Peek)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파일이나 폴더의 저장된 위치에 상관없이 종류별로 파일을 구성하고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 ② 모든 창을 최소화할 필요 없이 바탕 화면을 빠르게 미리 보거나 작업 표시줄의 해당 아이콘을 가리켜서 열린 창을 미리 볼 수 있게 한다.
- ③ 바탕 화면의 배경으로 여러 장의 사진을 선택하여 슬라이드 쇼 효과를 주면서 번갈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 ④ 작업 표시줄에서 프로그램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여 최근에 열린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 에어로 피크 ( 미리보기 ) 의 단축키는 윈도우 로고 + T 입니다.
이렇게 컴퓨터 활용 능력 1급, 2급 필기에 나오는 기출문제 까지 확인 해보았습니다.
필기 시험 응시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자격증 > 컴퓨터활용능력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접근성 센터 ] (0) | 2023.06.18 |
---|---|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사용자 계정 ] (0) | 2023.06.18 |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휴지통 ] (0) | 2023.06.18 |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단축키 ] (2) | 2023.06.17 |
컴활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요약 [ 운영체제 ] (2)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