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컴퓨터 포맷 하는 방법 [ 가장 쉬운 컴퓨터 정보 ] PC를 사용한지 오래되어 컴퓨터 속도가 느려졌을 때 포맷을 많이들 하시죠. 근데 포맷 하는 방법을 몰라 아직도 컴퓨터 수리점에 맡기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윈도우 10 이상 버전부터는 포맷이 굉장히 쉬워졌으니 내용을 보고 따라해보세요. * 포맷 전 중요한 파일은 USB , 외장하드 , 클라우드에 반드시 백업 해두셔야 합니다. 그럼 포맷 방법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윈도우 로고를 눌러 나오는 시작메뉴에 " 이 PC 초기화 "를 검색하고 , 화살표로 표시된 모양을 클릭합니다. 2. 이 PC 초기화에서 "시작" 을 누릅니다. 3. 이 PC 초기화 창이 나오면 " 모든 항목 제거 " 를 누릅니다. 4. 준비중 창이 나온 후 Windows를 다시 설치하는 방법에서 " 로컬 다시 설치 " 를 클릭합니다... 더보기 컴퓨터 화면 녹화 방법 [ 가장 쉬운 컴퓨터 정보 ] 컴퓨터 사용 시 화면 녹화 할 일이 있으시다구요 ? 빠르게 화면 녹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윈도우 로고 + G 단축키를 누릅니다. 2. 게임 바 창이 나오면 사진과 같이 동그라미 버튼을 누르면 녹화가 진행됩니다. 3. 캡쳐 상태 창에서 녹화가 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4. 원하는 지점까지 녹화가 끝낫다면, 캡쳐 상태 창에서 네모 버튼을 눌러 중지 시킵니다. 5. 게임 클립 녹화됨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윈도우 로고 + G를 눌러 게임 바 창으로 들어갑니다. 6. 녹화된 파일을 확인하고, 파일 위치 열기로 들어갑니다. 7. 파일 탐색기 창에 동영상 녹화가 완료되어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화면 녹화하는 방법 생각보다 간단하죠 ? 무료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더보기 컴퓨터 사양 CPU, RAM,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법 [ 가장 쉬운 컴퓨터 정보 ] 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 사양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 CPU와 RAM 확인하기 1. 윈도우 로고 + E 키를 눌러 "탐색기" 를 실행합니다. 2. 탐색기 창 좌측의 " 내 PC "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속성" 으로 들어갑니다. 3. 장치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프로세서 : CPU의 사양을 가르킵니다. 중앙처리장치 라고 하며 사람으로 따지면 "뇌" 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RAM : 주기억장치 , 메모리 라고 부릅니다.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며 용량이 클 수록 속도가 빠릅니다. 사무용은 4GB, 8GB / 그래픽 작업 및 게임 용도는 16GB , 32GB를 장착합니다. 참고로 RAM은 우리가 알고있는 저장 용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 시스템 .. 더보기 컴퓨터 배경화면 바꾸는 법 [ 가장 쉬운 컴퓨터 정보 ] 기본 배경화면 사용하시는 분 많으시죠 ? 내가 사랑하는 가족, 애완동물, 좋아하는 연예인 사진으로 변경해두면 일의 효율도 올라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지금부터 컴퓨터 배경화면 쉽고 빠르게 변경하는 법 두 가지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 : 개인 설정 사용하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누르면 " 바로가기 메뉴 " 라고 하는 메뉴창이 나오게 됩니다. 개인 설정을 선택 해주시면 배경을 바꿀 수 있는 탭들이 보입니다. 찾아보기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탐색기"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내가 바꾸고자 하는 사진이 바탕화면에 있으면 바탕화면을 클릭하여 원하는 사진 선택 후 사진선택을 누르면 배경화면 변경이 끝납니다 ~ ** 사진 말고도 단색 화면으로 설정하고 싶다고 하시면 "사진" 을 클릭합니다. ".. 더보기 컴퓨터 캡쳐 방법 [ 가장 쉬운 방법 컴퓨터를 사용할 때 캡쳐 방법을 모르시는 분이 많더라구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 캡처도구 앱 사용하기 키보드 윈도우키를 누르면 시작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시작메뉴에 '캡처' 를 입력하면 캡처 도구 앱이 나오게 됩니다. 새로 만들기를 누르면 창이 하얗게 변합니다. 이 때 캡처하고자 하는 곳을 드래그 하면 캡처가 완료됩니다. 이 상태에서 Ctrl + S를 누르면 사진 파일 형식 (JPG , PNG , GIF) 및 웹 형식 ( HTML ) 으로 저장이 가능합니다. 저장을 누르면 문서 폴더에서 확인이 가능하겠죠 ? ( 다른 위치로 선택하셔도 됩니다 ) 두 번째 : 단축키 ( 윈도우 키 + Shift + S ) 사용하기. 단축키 ( 윈도우 + Shift + S )를 누르면 창이.. 더보기 이전 1 ··· 4 5 6 7 다음